교수소개(전임교원)
서울캠퍼스
Dawn or Dusk? Will Virtual Tourism Begin to Boom? An Integrated Model of AIDA, TAM, and UTAUT
빅카인즈를 활용한 먹방 트렌드 분석: 연도별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스마트팜 채소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자연성이 혜택과 태도 및 추가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저탄소 라벨의 조절효과 검증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GMO와 Non-GMO 라벨에 따른 소비자의 지각된 혜택이 신뢰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학교육에서 ChatGPT 활용에 대한 교원 인식조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The dual lens of authenticity and likability: The effect of cultural familiarity on consumer responses to ethnic foods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과 캐주얼 다이닝 레스토랑의 서비스 로봇: 서비스 로봇의 의인화가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사이코그래픽스를 활용한 음식관광자 시장세분화 및 행동특성 분석: 중국 충칭 지역 관광자를 중심으로
Market Segment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ccording to Consumption Needs for Fine-Dining Restaurants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Fine-Dining Restaurants Using a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작업 주체(로봇 셰프 vs. 인간 셰프)에 따른 서비스 품질 인식 차이와 고객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작업 난이도에 따른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내추럴와인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가 재구매 의도와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환경관심도와 와인 지식수준을 조절효과로
먹는 해양심층수의 선택속성에 대한 IPA 연구
IPA를 이용한 수돗물 정수기 선택속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 서비스 로봇의 의인화 수준이 로봇 서비스품질 기대에 미치는 영향: 가젯 러빙 성향의 조절효과
한국 장수 브랜드와 식품기업의 공동 브랜딩 유형이 소비자 지각에 미치는 영향
지속가능한 한국 음식축제 활성화 방안
관광산업에서 한류문화콘텐츠 영향 및 관광의도에 대한 조절효과 검증: 메타회귀분석의 적용
외식업 종사원의 직무 자원이 직무 열의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 적합성, 근무 부서를 조절 효과로
코로나 19 상황에서 소비자의 보상소비성향이 특급 호텔레스토랑 선택속성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튜브 랜선투어의 경험가치가 지역 이미지, 장소 애착 및 관광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레스토랑 서비스 실패에 따른 부정적 리뷰가 감정반응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격수준과 이모티콘의 효과
스마트 팜 식재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식품 라벨링과 푸드 테크노포비아를 중심으로
Kano모델에 기반한 판매자 관점의 외식배달 플랫폼 품질속성 분류
체험경제이론에 기반한 랜선투어의 경험가치, 정보 신뢰와 정보원 신뢰가 플로우, 지속 사용 의도 그리고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대 간 차이
Who is an evangelist? Food tourists' positive and negative eWOM behavior
공동 브랜딩 기내식에 대한 지각이 항공사 브랜드 이미지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 증강현실 여행의 경험가치와 만족: 장애인의 인식
식품의 뉴트로 패키지 디자인이 친숙성, 독특성, 매력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세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사찰음식 활성화를 위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
못난이 푸드(Ugly Food)의 흠집이 지각된 품질, 진정성, 구매의도,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 유기농 라벨과 환경관심도를 조절변수로
쿠킹 클래스 선택 속성의 성별에 따른 IPA 연구
쿠킹 클래스 수강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와 선택 속성 차이 연구
한국 수출 김의 이미지, 선택속성, 친숙도 조사를 통한 국가별 마케팅 전략 수립: 4개국을 대상으로
식품 패키지의 외관적 친환경 단서에 따른 소비가치 인식: 제품유형과 환경관심도의 조절효과